특성화센터 | 클리닉

여성암클리닉

유방의 구조

  • 유두(젖꼭지) : 5~10개의 작은 구멍이 있어 이를 통하여 젖을 분비합니다.
  • 유륜 : 유두 주의의 검은 피부를 말합니다.
  • 그 외 나머지 부위의 유방
  • 유방의 내면은 실직조직과 이를 지지하는 간질조직으로 구성됩니다.

실직조직
15~20개의 소엽들로 구성되는데 이들은 각기 유고나을 만들고 서로 모여 좀 더 큰 5~10개의 집합관으로 되어 유두를 개구하게 됩니다.
간질조직
지방조직, 결체조직, 혈관, 신경, 림프관 등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겨드랑이에는 유방으로부터 배액되는 20~40개의 림프절이 있습니다.

증상

무증상인 경우 검진을 통해 발견
유방 종괴
부드럽던 부위에서 단단한 부위가 생기며 대개 통증이 없어서 방치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유두 분비물
비정상적인 유두 분비의 5~10%에서 유방암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한쪽에서 주로 나오며 한쪽의 유두에서도 특정 한개의 유관에서 나오며, 노란색인 경우 또는 혈성 분비물이 나오게됩니다.
피부의 변화
유방의 굴곡의 변화, 유두 및 피부의 함몰과 피부의 습진 증상등이 동반될 수 있습니다.

한국 유방암의 특징

유방암은 우리나라 여성암 발병율 1위 암입니다.
유방암은 흔히 선진국형 질병이라 볼립니다. 개발도상국보다 선진국의 발병율이 훨씬 높기 때문입니다.
비만, 모유수유의 감소, 식습관의 서구화 등에 따라 우리나라도 최근 유방암이 급격히 늘었습니다.
우리나라 유방암은 미국과 달리 젊은 여성에서 발생합니다.
우리나라 유방암은 현재 40~50대에 가장 많이 나타나며 20~30대도 전체 유방암의 25% 가량 됩니다.
유방암을 조기 발견하면 거의 완치할 수 있습니다.
1기 조기 유방암의 경우 98.2%이상의 5년 생존율을 보이고 있습니다. 2기는 91.7%, 3기는 68.2%, 4기는 30.5%의 생존율로 조기에 진단하면 10명 중 9명이 완치가능하지만 진단이 늦어지면 급격히 줄어듭니다.
유방암 예방
모든 질병은 병이 발생하기 이전에 예방하는 것이 가장 중요합니다.
유방암의 일차적인 예방법은 아직까지도 특별하게 알려져 있는 것이 많지 않기 때문에 이차적인 예방, 즉 조기발견과 조기치료를 통하여 여성의 소중한 유방을 지켜야 합니다.
유방암 위험인자
  • 만삭분만 경험이 없는 경우 1.5배, 첫 만삭분만이 35세 이후인 경우 2배 위험도 증가
  • 초경이 빠르거나 폐경이 늦은 여성
  • 수유하지 않은 여성은 수유여성에 비해 위험도 1.8배 증가
  • 음주 및 흡연
  • 직계이거나 2대에 걸쳐 부모나 친척 중 유방암에 걸린 가족이 있는 사람

유방암의 진단

  • 유방촬영술
  • 유방초음파
  • 유세침흡인 세포검사
  • 유총(Gun) 조직검사
  • 유맘모톰 조직검사
  • 유수술적 조직검사

자가검진법

유방암은 특별한 어느 한가지 방법으로 예방할 수 있는 질환이 아닙니다.
조기발견하여 적절한 치료를 받으면 거의 완치될 수 있습니다.
또한 유방암은 거의 유일하게 환자 스스로가 자가검진할 수 있는 질환이므로 20대부터 매월 자가검진하는 습관을 들이는 것이 중요합니다.

양성 유방질환

낭종
유관속에 액체가 고여있는 상태를 말하며 유방조직이 풍부한 30대 이후의 여성에게 주로 생깁니다. 저절로 없어지는 경우가 많으며, 세침흡인세포검사후에 없어지는 경우도 있습니다. 유방의 낭종이 있는 경우에는 정기적인 검사가 필요합니다.
섬유선종
섬유선종은 젊은 여성에게 생기는 가장 흔한 유방의 양성질환입니다.
섬유선종은 여성호르몬의 영향을 받아 생리주기 동안 크기와 증상등이 변할 수 있습니다. 크기가 큰 경우 엽상육종과 구분이 어려워 조직검사가 필요합니다. 크기가 급격하게 증가하거나, 크기가 크거나, 엽상육종과 구별이 힘들거나 또는 검사상 악성을 의심할 만한 소견과 함께 나타나거나 환자의 안정과 미용적인 목적을 위해 제거하게 됩니다.
수유기 농양
수유여성의 약 2~3%가 경험하는데, 대개 수유를 시작한 수 주 안에 유두의 상처를 통해 신생아의 입 안에 있는 세균이 침입하여 발생합니다. 대부분 항생제 치료로 좋아지며 농양이 형성되었을 경우 배농을 하면서 치료합니다.